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깃 리베이스 진행 방법
- CSS
- input:focus
- HTML Attributes
- 펼침연산자
- background-imge 속성
- 리액트 페이지네이션
- 리액트 무한스크롤
- JavaScript
- img태그 & div태그
- 검색기능구현
- useEffect
- DIV태그
- React fetch
- git remote -v
- js 위치 값 가져오기
- 다중필터기능
- 커스텀 훅
- 별점기능구현
- getCurrentPosition
- 객체분해할당
- html/css 이미지
- react
- img태그
- font태그
- 깃 리베이스 취소하기
- starRating
- github
- JavaScript메서드
- clearTimeout()
- Today
- Total
목록HTML & CSS/HTML (7)
조각조각 노트 정리
1. Semantic Web과 Semantic Tag에 대한 이해 img태그와 div태그의 차이점을 설명하기에 앞서, Semantic Web과 Semantic Tag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에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1-1. Semantic Web 시맨틱 웹 시맨틱 웹은 사전상 '의미있는 웹'으로 풀어 설명 할 수 있다. 여기서의 '의미있는 웹'이란 무었일까? 인터넷이 가정으로까지 보급되고, 그에 따라 정보의 양이 매우 방대해졌다. 그로 인해 필요없는 정보를 정리해야 될 필요성이 생겨났다. 사람이 정보를 판단하고 정리하는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동화된 기계가 스스로 의미를 해석하고 정보를 정리하게 만들어진 웹을 시맨틱 웹이라 부른다. 1-2. Semantic Tag 시맨틱 태그 시맨틱 웹이 '의미있는..
태그마다 사용할 수 있는 속성(Attributes)이 다르지만, 주로 사용하는 tag와 attributes가 있기 때문에 쓰다 보면 익숙해진다고 한다.. HTML 속성(Attributes) 이동 태그 : 속성 : href 속성 값 : https://note-ballpen.tistory.com/ 내용 : 이동 위의 예시를 보면 태그에 이동할 주소의 내용을 보충하기 위해 href라는 요소를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오늘은 이름을 주는 속성인 class와 id에 대해서 살펴보려 한다. class와 id는 언제 쓰는걸까? 태그에 속성을 추가하다 보니, 중복이 발생함. (문제발생!) 이러한 중복(원인!)을 없애기 위해서 그룹으로 묶을 필요성이 생겼고(해결책!), 이름을 부여하는 class와 id라는 속성으로 그룹..

공간분할태그 ,, :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위해서, 경계를 분할하거나 영역을 나눌때 사용하는 3가지 태그이다. 태그 paragraph(문단)의 의미로, 하나의 문단을 만들때 사용한다. 태그 : division(나누기)의 약자로, 의미없이 레이아웃 나뉠때 쓰인다. 일반적인 태그들과는 다르게 태그의 의미는 없으며, 가상의 레이아웃을 설계할때 쓰이는 태그이다. 공간분할태그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며, 주로 css랑 연동해서 쓰인다. display속성이 block 형식으로, 줄 바꿈이 있음. 태그 : span(폭,좁은구간)의 약자로, div태그와 마찬가지로, 의미없이 레이아웃 나뉠때 쓰인다. 레이아웃을 나눌때 사용하며, css랑 연동하여 쓰인다. display 속성이 inline 형식으로, 줄 바꿈이 없음..
하이퍼링크를 걸어주는 태그이다. 닻을 의미하는 anchor의 첫 글짜를 딴 태그이다. 정보의 바다에서 정박한다는 의미. 태그에 필요한 속성 href : 클릭했을때 넘어가는 링크 주소 target : 링크를 여는 방법 _self : (기본값)URL을 현재 페이지에서 보여줌 _blank : URL을 새 탭으로 열어줌 title : 링크를 들어가기 전 툴팁으로 제목을 알려줌 태그의 예제 go 노트정리
html 파일의 구조 이제 책의 표지(제목,저자,책의 목차)라고 볼 수 있는 html의 체계와 구조를 설명하고자 한다. hellow world 거의 대부분의 웹페이지가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 html 파일이라면 맨 첫줄에 나와야되는 선언문이다. html파일이 어떤버젼으로 사용했는지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역활을 한다. : 모든 html 요소(element)들은 태그로 감싸져있다. 브라우져가 태그를 만나면, html으로 시작됐는지 인지하고, 해당요소를 그릴 준비를 함. : 사이트의 제목, 설명, 부가정보, 기술적 내용이 들어가는 부분 UTF-8 설정 : html 문서의 인코딩을 지정할때, 해당 html 파일이 브라우저에서 한글,일어,중국어 글씨가 깨지지 않도록 utf-8로 인코딩 방식을 설정해 준다..
, , 들의 태그들을 내용을 통해 부모와 자식태그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부모태그 안에 들어가 있는 태그를 자식태그라고 부른다. 노트정리 위 예시를 보면 태그는 부모태그, 자식태그이다. 하지만 는 태그 이외에 다른 태그들을 부모태그로 둘 수 있다. 또한 다른 태그들은 자식태그로 둘 수 있다. 하지만 특정 태그들은 꼭 부모와 자식태그로 고정되어 있다. , , 태그들의 의미와 기능을 설명한 뒤, 이 태그들의 부모 자식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태그 설명 - list의 약자로, 목록을 만드는 태그이다. - 목록 리스트 이외에도 메뉴등을 만들때에도 사용한다. - 단독으로 사용이 불가하다. unordered list의 약자로, 번호를 메기지 않은 모양으로 목록을 만든다. ordered list의 약자로, 번호를 ..

1. 코딩이란? -코드(컴퓨터 언어)→ 입력→ 결과 (앱,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램) : 원인(코드)을 통해서 결과(프로그램)를 만드는 행위를 코딩이라고 한다. ⇒세상엔 많은 코드들이 있고 코드마다 제 역활이 다르다. 따라서,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서 적당한 코드를 선택해야된다. 그 중에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HTML'이다. 2. HTML (1) HTML은 무었인가? -웹페이지를 만드는 언어이다. 따라서 웹의 구조를 잡을 수 있다. -언어와 문법이 어렵지 않다. -간단하지만 중요한 언어이다.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으로써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2) HTML 에디터 -코딩을 하기 위해선 에디터(Editor)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모든 컴퓨터에는 HTML을 작..